1. 휴림로봇 사업 구조, 핵심 제품 및 서비스
2025년 6월 27일 23% 상승을 기록하면서 급등했으며, 금일 기준 시총은 3,450억 입니다.
휴림로봇은 ① 로봇 사업과 ② 신규(다각화)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구분 | 주요 내용 | 대표 제품 및 서비스 |
제조-용 로봇 | LCD·반도체·2차전지 라인에서 웨이퍼·글라스·셀을 이송하는 직각좌표·수평다관절·진공 로봇 및 컨트롤러 | DRM160-ST, iM-U4-500 컨트롤러 등 |
로봇 응용시스템 | 로봇을 결합한 공정 자동화 장비·물류 솔루션 | 디스플레이 진공 핸들러, 2차전지 물류 AMR 등 |
서비스 로봇 | 자율주행 플랫폼 ‘TETRA-DSV’ 시리즈 – 연구·교육·키오스크 안내·물류용 AMR | TETRA-DSV-S/M(H) 모델 |
자동차 내외장재 | 완성차 바닥 카페트(매트) 개발·양산 | 현대‧기아 1차 협력 납품 |
2차전지 장비 | 2024년부터 신규 연결. 셀 핸들링·물류 장비 위주 | 충남 천안 2공장 생산 |
이 밖에도 AI 반도체, 메타버스, 신재생에너지 등 90여 개 사업을 올려 놓았지만, 실제 매출은 위 5개 축에 집중돼 있습니다.
2. 2024년 실적
(연결 기준, 단위: 억 원)
사업부문 매출 매출 비중 영업이익 이익률
사업부문 | 매출 | 매출 비중 | 영업 이익 | 이익률 |
제조-용 로봇 | 148 | 11.2 % | −77 | −52 % |
공정장비·2차전지 물류 | 480 | 36.0 % | −6 | −1 % |
자동차 카페트 | 703 | 52.8 % | +34 | 4.8 % |
기타·조정 | − | − | +2 | - |
합계 | 1,331 | 100 % | −49 | −3.7 % |
전체 매출 1,331 억 원, 영업손실 49 억 원으로 전년(-19 억) 대비 적자 폭이 확대됐습니다.
3. 가장 수익성 높은 부문
자동차 카페트 사업이 매출 703 억, 영업이익 34 억, 4.8 % 마진으로 유일하게 흑자를 냈습니다.
그 이유를 분석해보면
- 완성차 1차 협력사 지위 – 물량이 안정적이고 단가 변동이 비교적 완만.
- 원가 구조 – 로봇·장비 부문과 달리 부품 BOM이 단순해, 2024년 원재료-펠트 가격 하락의 수혜.
- 확장 투자 적음 – 설비 CAPEX가 이미 상각 구간에 진입, 감가 부담 감소
반면 로봇 부문은 중국산 저가 경쟁, R&D·신공장 고정비 상승, 수주 변동성 탓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4. 재무 상태 체크 (2024 년 말)
항목 | 2024 | 2023 | 코멘트 |
현금 및 예치금 | 459 억 | 250 억 | 7월 공모 유증(175 억) 효과 |
총차입금(단기) | 222 억 | 28 억 | 2차전지 설비·운전자금 차입 증가 |
전환사채(유동) | 261 억 | 0 | 주가 하락으로 전환 가능 물량 부담 |
부채비율 | 57.7 % | 26.8 % | 레버리지 급증 |
이익잉여금 | −701 억 | −647 억 | 지속 적자로 자본잠식 위험 상존 |
진단 : 현금은 넉넉하지만 ① 단기차입 + ② 전환사채 부담이 커졌고, 적자 누적으로 자본잠식 트리거 지표가 악화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로서 포인트 : CB 물량(전환가 800 원)과 추가 유증 가능성을 항상 살펴야 합니다.
5. 주가 급등 이력 — 주로 로봇 테마
시점 | 급등 사유 | 핵심 테마 및 키워드 |
2020.09 | 한국판 뉴딜-로봇 정책 발표 | 서비스로봇·비대면 수혜株 |
2023.04 | 2차전지 + 우주항공 동시 편입 — 개인자금 몰림, 사흘간 상한가 | 우주항공 청정룸 로봇 납품설 |
2024.06 | 메타버스 로봇 : TETRA-DSV를 메타버스 플랫폼에 결합한다는 기사 | 메타버스·AI 로봇주 순환매 |
2025.04 | 차세대 인체형 AMR 국책과제 선정 보도 후 단기 +40 % | 자율주행·로봇 국책과제 모멘텀 |
6. 향후 리스크 & 위험 요인
① 시장위험 : 매출 60 % 이상이 달러·위안화로 결제되는 만큼 환율 변동 민감. 10 % 환변동 시 손익 영향 ±106 억 원
② 기술 경쟁 : 중국 로봇업체의 국산화 품목 확대 → 핵심 부품 가격·판가 하락 압박.
③ 전환사채(파생 부채) 리픽싱 위험 : 전환가 조정 조건 탓에 주가 하락 시 희석률 확대.
④ 신규 사업 불확실성 : 메타버스·신재생·AI 반도체 등은 *“현재 매출 없음, 1년 내 추진 계획 없음”*으로 공시. 투자비 선행 시 손상차손 리스크
⑤ 유동성 : 단기차입 + CB 만기 집중(’26 년 상반기 195 억). 운영현금 흑자 전환이 지연될 경우 재차 유증 가능성.
한줄 정리
“로봇 본업은 아직 체력이 부족, 자동차 내장재가 캐시카우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단기-모멘텀은 정책·테마 뉴스, 중장기는 2차전지 물류 로봇의 수익성 전환 여부가 관건.”
※ 본 글은 투자 권유의 글이 아니며 정보 공유용 포스팅입니다. 투자는 결국 본인 책임이며, 항상 DYOR(Do Your Own Research) 하세요!
'Investment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성이엔지, 반도체·이차전지·태양광 그리고 기후부 수혜 가능성? (1) | 2025.07.11 |
---|---|
한국화장품 분석 — 사업 보고서 기반, K-뷰티 관련주, 사업구조 및 핵심 제품, 전망 (2) | 2025.06.30 |
PS일렉트로닉스 종목 분석 — 테슬라 로보택시 수혜주 가능성? 시가 총액, 영업 이익, 사업 내용 (1) | 2025.06.25 |
25.06.23 원전 해체 기대감 속 급등한 우진엔텍 — 기업 개요 및 주가 차트 분석 (1) | 2025.06.23 |
20250623 코스피 코스닥 급등 종목 — 로봇주 해운주 AI 관련주 급등, 로보티즈 넥써쓰 상한가, SK 이터닉스, SKAI, 아이티센엔텍, 흥아해운 급등 (2)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