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 Economy

한국화장품 분석 — 사업 보고서 기반, K-뷰티 관련주, 사업구조 및 핵심 제품, 전망

Futureseed 2025. 6. 30. 23:47
반응형

 

 

[특징주] 한국화장품, K-화장품 “美 수출 제치고 2위 등극” 글로벌 수출 1위 기대감에 ‘급등’

한국화장품(123690)의 주가가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화장품의 주가는 오후 1시 13분 기준 전일 대비 13.65% 상승한 949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는 K뷰티가 전

www.widedaily.com

 

1 | 서론 ― 분기 매출 2,460억 원

‘한국화장품’(123690)은 판매 전문 지주사라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2025년 1분기 연결 매출이 2,460억 원대를 기록했고, 6월 중순에는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글은 사업보고서(2024 FY)와 분기보고서(2025 1Q)를 직접 확인하며 핵심만 정리한 투자 메모입니다.

표기 기준 : 지주·자회사를 합친 ‘연결 실적’을 사용했습니다. 전체 현금 흐름을 보기 위해서입니다.
참고로, 한국화장품은 연결 대상 종속회사
 - 한국화장품제조 (지분 53.9%, ODM 주력)
 - 씨앤씨인터내셔널 등 여러 화장품 제조사를 보유
이들 자회사는 매출과 이익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 특히 ODM 수출(미국, 중국)은 대부분 자회사 매출로 잡힙니다.

따라서 연결 기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2 | 사업 구조와 핵심 제품

구분 내용
설립 배경 2010년, 한국화장품제조에서 판매·부동산 부문 인적분할
주요 채널 방문판매(H&B), 온라인·홈쇼핑·총판, 브랜드숍 가맹점
자회사 더샘인터내셔날(100 %)·힐리브(65 %)
대표 제품 커버 퍼펙션 팁 컨실러, 산심 기초 라인 등 700여 종
 

더샘이 가맹점 140여 개, 대리점 100여 곳을 운영하며 매출의 70 % 이상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3 | 연결 실적 개요

항목 2024 연간 2025 1Q 전년 1Q 대비
매출액 927억 원 246억 원 +3.5 %
영업이익 37억 원 17억 원 +29 %
영업이익률 4.0 % 7.0 % 개선
순이익 48억 원 20억 원 +22 %
 

브랜드숍 부문(더샘) 매출 비중이 76 %로 가장 크며, 온라인 비중 확대로 판관비율이 내려가면서 영업이익률이 빠르게 개선됐습니다.


4 | 재무 상태 한눈에 보기

  2024.12 2025.03 코멘트
총자산 5,790억 6,027억 현금 증가, 재고 축소
현금성자산 143억 176억 +23 %
총부채 2,754억 2,781억 단기차입 260억 유지
자본총계 3,037억 3,246억 잉여금 누적
 

유동비율이 170 % 수준이며 순현금 기조라 재무 레버리지가 높지 않습니다.


5 | 주가가 움직였던 주요 이벤트

시점 촉발 뉴스 및 테마
2024 4분기 중국 리오프닝 기대 → K-뷰티 중소형주 순환 매수
2025 6월 “한국 화장품 수출 세계 2위” 보도로 수출주 모멘텀 부각

6 | 리스크 체크
  1. 중국 의존도 : 수출의 약 30 %가 중국·동남아에 집중.
  2. 원가 압박 : ODM 단가 인상·환율 변동 시 마진 감소 가능.
  3. 경쟁 심화 : 로드숍 침체, 인디 브랜드·D2C 증가.
  4. 규제 리스크 : 기능성 인증·전성분 표시 등 행정 절차 지연 위험.

7 | 왜 ‘연결’ 숫자를 봐야 하나

  • 실질 매출·이익의 대부분이 자회사(더샘·힐리브)에서 발생.
  • 기관·애널리스트가 밸류에이션에 사용하는 기준이 연결 EPS.
  • 별도 재무제표는 본사 유통 마진만 반영돼 규모가 과소평가됨.

8 | 차트

 

 

1차로 매물대가 많이 쌓인 곳에서 돌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충분한 거래량과 거래대금을 동반하고 있어 돌파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므로,

돌파해준다면 다시 이 저항선은 지지선으로 바뀔 것이기 때문에 매수를 노려봐도 괜찮을 것으로 보입니다.

매매 타이밍을 한 번 재볼 생각입니다.

 


※ 본 글을 단순 정보 제공 및 분석 내용 공유글이며, 투자 권유의 글이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항상 DYO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