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 Economy

20250611 상승 및 거래량 상위 종목, 상승 이유 정리 ㅡ 태양광, 코인, STO 관련주 강세

Futureseed 2025. 6. 11. 22:59
반응형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량 거래대금(백만)
제넨바이오 62 195.24% 37,120,146 1,973
엠에프엠코리아 32 68.42% 40,044,198 1,148
파루 1,674 29.97% 32,402,847 51,741
PS일렉트로닉스 3,590 29.84% 17,775,119 60,269
한화솔루션 38,250 22.99% 18,875,134 673,800
티사이언티픽 1,138 21.06% 19,342,158 21,659
화일약품 1,372 20.14% 11,957,072 16,414
실리콘투 61,800 19.31% 5,919,674 346,722
오가닉티코스메틱 509 18.37% 29,218,339 15,501
한국정보인증 8,950 16.23% 36,710,128 323,143
케이엘넷 3,205 14.67% 11,788,523 37,147
인스코비 1,827 14.55% 13,922,571 24,859
디앤디파마텍 97,400 14.05% 1,210,811 114,380
대성파인텍 1,234 13.73% 32,420,096 41,462
한송네오텍 59 13.46% 21,460,076 1,065
리드코프 6,090 13.41% 20,451,063 126,644
라이콤 2,760 13.35% 10,515,149 30,034
SGA솔루션즈 556 10.98% 23,717,144 14,242
아톤 7,690 10.97% 21,940,493 166,925
이스트아시아홀딩스 61 10.91% 271,628,607 16,917
SGA 410 10.81% 10,866,658 4,749

제넨바이오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코스닥에서 상승률 1위(+195%)로 마감했습니다. 장중 거래량이 약 3,450만 주로 급증하면서 주가가 크게 뛰었습니다 .
    • 특별한 호재(공시·실적 등)는 없었고, 단기 투자자들의 집중 매수로 인한 폭등으로 분석됩니다 .
    • PER(주가수익비율)은 약 0.42, ROE(자기자본이익률)은 –15.7%, 극단적인 저평가 수준이나, 실적은 여전히 적자 상태입니다 .
  2. 회사 개요
    • 제넨바이오(GenNBio, 072520.KQ)는 1999년 5월 설립, 코스닥 상장사입니다 .
    • 주요 사업은 두 축으로 나뉩니다:
      1. 의약품·의료기기 유통사업
      2. 바이오사업 – 비임상 CRO(임상 전 동물실험) 및 이종장기 개발 (무균미니돼지 기반, 이종장기 이식 플랫폼) 사업 .
    • 평택에 최신 연구시설 ‘제넨코어센터’를 구축하여 형질전환 돼지 사육, 이종장기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
    • 재무 현황: PBR 0.02, 심각한 적자 지속(2024년 ROE –15.7%), 임직원도 8명 수준으로 소규모 기업입니다 .

엠에프엠코리아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코스닥에서 상승률 2위(+68%), 거래량 약 4,000만 주 기록하며 강한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 이 급등세는 공시·실적 등 특별 호재 없이, 단기 투자자들의 투기성 매수, ‘의류·리오프닝 테마’ 묶임에 따른 모멘텀 효과라는 분석이 지배적
  2. 회사 개요
    • 엠에프엠코리아 (MFM Korea, 323230.KQ)는 2002년 설립, 2020년 스팩합병을 통해 코스닥에 상장된 의류 OEM 및 ODM 제조기업입니다
    • 주로 니트류 중심의 의류를 제조하며, 아시아·북중미 생산 네트워크를 활용해 Aéropostale, Vans, Nautica, Forever21, TJ Maxx, JCPenney, 아마존, 코스트코 등 글로벌 브랜드에 공급합니다
    • 2023년 매출 약 1,136억원, 영업이익 57억원, 순손실 –216억원 규모이며, 종업원수는 약 29명입니다
    • 다만, 공시 불이행 및 정기보고서 미제출로 인해 상장폐지 심사 대상으로 지정되어, 현재 정리매매 상태입니다

파루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파루(043200)는 +6.67% 상승 마감, 장중 최대 +29.97%까지 급등했습니다.
    • 각종 재생에너지 정책 기대감코로나 방역·소독제 관련 테마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2. 회사 개요
    • 회사명: ㈜파루 (PARU Co., Ltd., 043200).
    • 설립일: 1993년 7월 15일, 코스닥 상장: 2000년 7월 중순
    • 본사: 전라남도 순천시, 사무소: 서울 양천구 목동
    • 주요 사업:
      • 태양광 추적장치(Dual‑axis, Single‑axis tracker) 중심, 전체 매출의 약 98% 차지
      • 위생환경 사업(자동릴·소독기 등) 포함 .
    • R&D 투자: 매출 대비 0.9–1.5% 수준, 태양광 트래커 기술 지속 개발 중
    • 특징: 글로벌 실적 기록 보유(미국 알라모 등), AI 기반 영농형 태양광 기술력 보유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PS일렉트로닉스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PS일렉트로닉스(332570)는 29.84% 급등, 종가 3,590원에 마감했습니다
    • 상승 배경은 글로벌 위성통신 서비스의 국내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RF 통신 장비 및 RF 모듈 수요 급증 기대감이 작용했습니다. PS일렉트로닉스는 스마트폰·차량용 RF 모듈, 소형 기지국, 국방·IoT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며 수혜주로 부각되었습니다
  2. 회사 개요
    • 회사명: 주식회사 PS일렉트로닉스 (332570, 코스닥)
    • 설립: 2006년, 상장: 2020년
    • 본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에도 생산 시설 보유
    • 주요 사업:
      • RF Front-End Module, 특히 Power Amplifier Module(PAM) 개발·제조·판매
      • 스마트폰 및 스마트카용 PAM, RF FEM, K-DCU, MEMS, 공장 자동화 장비 등
    • 재무 실적 (2025년 1분기):
      • 매출 360억원 (+14.4%), 영업이익 19억원 (–68%), 순이익 30억원 (+162%)
    • 밸류에이션 및 투자지표:
      • 시가총액 약 1,220억 원
      • PER 음수(영업적자), PBR 약 1.08배~1.41배, ROE –5.1%

한화솔루션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미국 의회에서 태양광 보조금 유지 로비가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글로벌 태양광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한화솔루션은 이 가운데 코스피 상승장(+2900선 돌파) 의 흐름과 맞물려 두 자릿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 미국 태양광 업계의 로비 소식은 솔라엣지 테크놀로지스 주가가 +11.8% 상승하는 등 현지 시장 분위기를 달궜고, 한국 시장에도 긍정적 심리가 유입됐습니다
    • 국내적으로는 이재명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기대감이 함께 작용하며 수요를 불러일으켰습니다
  2. 회사 개요
    • 한화솔루션 (Hanwha Solutions, 009830.KS) 은 2020년 한화케미칼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의 합병으로 출범했으며, 본사는 서울 중구 청계천로에 있습니다 
    • 주요 사업 부문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 케미칼 부문: PVC, LDPE, LLDPE, CA, TDI 등 기초 석유화학 소재 생산 (주요 제품은 LDPE·PVC 시장 점유율 국내 1위)
      • 큐셀 부문: 폴리실리콘부터 모듈 및 발전소 운용까지 이어지는 태양광 수직 계열화, 글로벌 태양광 Total Solution 제공 .
      • 인사이트/큐에너지 부문: 첨단소재, 도시개발,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신재생에너지 플랫폼 구축 추진 .
    • 2025년 1분기 실적: 연결기준 매출 3조945억 원(+31.5% YoY), 영업이익 흑자전환, 태양광 부문 영업이익 1,362억 원 기록
    • 미국 조지아주 ‘솔라허브’ 프로젝트: 잉곳 → 웨이퍼 → 셀 → 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수직 계열화 생산단지 구축 계획 

티사이언티픽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정보보안 테마’가 전일 대비 약 3.47% 상승하며 관련주로 티사이언티픽(057680)의 주가도 9.04% 급등했습니다. 이 상승은 기관 순매수(△36.98억)와 외국인 순매수(△134.1억)가 주도했으며, 개인 순매도(-151억) 대비 우위였습니다
    • 과거에도 가상자산·블록체인 테마와 연동해 주가 움직임이 있었고, 정보보안 관련 뉴스가 나올 때마다 주가가 크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2. 회사 개요
    • **티사이언티픽(T Scientific, 057680)**은 1998년 8월 설립, 2002년 코스닥 상장된 IT 토털 서비스 기업입니다. 본사는 서울 동작구에 위치하며, 직원 수는 약 240–244명입니다
    • 주요 사업 분야:
      • 정보보안·보안 솔루션 (SIEM, DLP, VPN 등) – 전체 매출의 약 74% 차지
      • 모바일커머스 및 시스템 통합(SI) – 약 24% 비중 .
      • ITO 서비스, 클라우드, AI 개인정보 진단·비식별화 솔루션 포함 .
    • 기업 전략/비즈니스 변화:
      • 2023–2024년 Netcruise(넷크루즈), HappyTechnology, ITNomads 등 보안·플랫폼 계열사 흡수합병 통해 보안 및 클라우드 역량 강화
      • 2017년 이후 가상자산 관련 사업(빗썸코리아 지분취득·NFT·블록체인)에 진출한 이력이 있고, 주요 주주로 위지트가 있으며 빗썸코리아 지분도 일부 보유 중 .

 

화일약품

1. 주가 상승 이유

  • 최근 신약 개발 기대감, 특히 항암제·면역치료제 분야에서 기대감으로 주가 약 16% 급등
  • 의료용 대마 테마에 포함된 영향으로 해열제 품귀 관련 이슈도 반영됨
  • 오늘(6월 11일)에는 금호에이치티 → 오성첨단소재로 최대주주 변경 계약 공시가 나오며 테마 재부각 중입니다

2. 회사 개요

  • 설립: 1980년, 코스닥 상장: 2002년
  • 본사: 경기 화성시 향남읍
  • 사업: 원료의약품(API) 제조·판매, 완제의약품 생산, 기능성 식품원료, 신약 개발 등 다각화
  • 생산시설: GMP/CGMP/BGMP 시설 갖춘 공장(화성·안산) 및 연구소(판교) 운영 
  • 직원수: 약 160–183명 
  • 재무: 매출 약 1,200배 이상, 최근 1분기 매출 감소·영업적자 전환, 중국·인도산 원료 가격 상승 영향 

실리콘투

1. 주가 상승 이유

  • K‑뷰티 화장품 수출 관련 테마로 호실적 기대감 및 차트상 매집 완료 분석 등장 
  • 미국·유럽·중동 시장에서 관세 이슈에도 견고한 공급망 유지, 삼성증권 목표주가 상향 언급 (

2. 회사 개요

  • 설립: 2002년, 상장: 2021년 9월 (코스닥) 
  • 본사: 성남 판교, 직원 약 245–250명 
  • 사업: K‑뷰티 글로벌 유통 플랫폼 ‘StyleKorean.com’으로 전세계 100–150여 개국 수출, 물류 AGV 자동화, K‑푸드·K‑POP 확장 중 
  • 실적: 매출 2023년 3,428억 → 2024년 6,915억으로 급증
  • 전략: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AGV 자동화, 푸드·콘텐츠 사업도 병행하며 수익성·성장성 강화 중 .

오가닉티코스메틱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장중 상한가(+30%) 도달, 전일 대비 +18~30% 대폭 급등했습니다
  • 중국 관련주, 홍콩 지주사 테마로 분류되며 대외 변수(한한령 해제 기대·중국 경기 부양책)에 따라 투자 심리 강세
  • 화장품 섹터 전반 수출 호조 영향으로 수요 증가 기대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2. 회사 개요

  • 설립: 2012년 홍콩, 상장: 2016년 코스닥
  • 본사: 홍콩 소재, 종업원 약 163명 
  • 사업:
    • 홍콩 지주사로 기능하며, 중국 내 자회사 ‘해천약업’ 중심으로 **유아·임산부용 천연 화장품(샴푸, 바디워시, 로션, 모기퇴치제 등)을 생산·판매 
    • 2024년 인도네시아 자회사 설립, 해외 시장 확장 중 
  • 재무:
    • 2025년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22.1%,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각각 –27.9%, –21.8% 증가 
    • PER N/A, PBR 약 0.08배, ROE –18% 수준

한국정보인증

1. 주가 상승 이유

  • 최근 +16~18% 급등하며 9,000~9,600원대 회복 중입니다
  • 삼성페이·토큰증권(STO) 테마와 연결돼 기관·외국인 매수세 유입. 퀀트 재무 분석에서 테마 내 재무 점수 상위권 등 특징 부각
  • 또한 미국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Genius Act’) 통과 기대감 덕에, 관련 실증 서비스 지분 보유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회사 개요

  • 설립: 국내 최초 공인인증기관. 상장: 코스닥 053300
  • 사업 영역:
    • 공인·공동 인증서, 전자서명, SSL·API 기반 인증 시스템, 신원·신용인증 솔루션 등 제공
    • STO 발행·스마트 컨트랙트 등 블록체인 인증 서비스 확장 중 .
  • 재무 및 규모:
    • 직원 약 147명
    • 업종 내 PER 29.8배, PBR 1.6배, PEG –0.82.
    • PER은 업종 대비 높고, PEG 음수를 기록해 수익성 개선 기대감 존재 

케이엘넷

1. 주가 상승 이유

  • 2025년 6월 11일, **블록체인 테마 상승(+3.74%)**의 영향으로 +7.69% 급등했으며, 외국인·기관 순매수세 유입이 강했습니다
  • 또한 퀀트 재무 점수에서 테마 내 1위, 성장성·안정성·수익성 모두 우수해 테마 내 대표주로 재평가 받았습니다

2. 회사 개요

  • 설립 1994년, 코스닥 상장 2002년.
  • 사업 영역: 정부와 기업 대상의 물류 전자문서중계(EDI), 물류 IT 시스템, SI 컨설팅, IT 아웃소싱, 교통물류, 빅데이터 솔루션 등
  • 본사 서울 강남, 직원 약 175명, 자본금 120억 원, 신용등급 A0 
  • 재무 지표(2024년 기준):
    • PER 7.9배 (업종 PER 19배 대비 저평가), PBR 1.01배, 배당수익률 3.58% 
    • ROE 10%대 유지, 영업이익·순이익 지속 흑자. 부채비율 약 10%대 매우 안정적 
    • 2024년 매출 약 507억 원, 순이익 약 9억 원. EDI 매출 비중 58%, SI·SM 비중 약 42% 

인스코비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인스코비는 전일 대비 +14.6% 급등하여 1,827원에 마감했습니다
  • 상승 배경은 원화 스테이블코인 기반 지역화폐 개발 착수에 대한 공시와, 블록체인·원화코인 테마로 부상했기 때문입니다

2. 회사 개요

  • 설립: 1970년 7월 27일 / 유가증권시장 상장: 1985년 1월 17일
  • 주요 사업:
    • MVNO(알뜰폰): ‘프리티’ 브랜드로 가입자 수 약 20% 확보하며 안정적 실적 창출 중
    • 스마트그리드/PLC 모뎀: 한전 AMI 사업 참여, 스마트 전력망 솔루션 공급
    • 바이오/의료기기: 자회사 셀루메드, 아피메즈 등 통해 천연물신약·의료기기 개발 진행
    • 시계 및 유통 사업: 돌핀·오딘 브랜드 보유, 해외 수출 진행
  • 조직 및 재무:
    • 직원 수 약 43~56명
    • 2024년 매출 약 1,005억 원, 영업손실 축소, 순손실 확대; 순이익 흑자 전환 목표 지속 중 
    • PER 약 63배, PBR 약 4.0배로 고평가 영역에 위치하며, ROE는 6.9% 수준 

디앤디파마텍

1. 주가 상승 이유

  • 6월 11일 장중 343억 2600만원 규모 전환사채(CB) 발행 결정 공시가 나오면서 주가가 6~14% 상승, 52주 신고가도 기록했습니다
  • CB는 무보증 영구전환사채로, 전환가는 84,067원, 전환청구는 2026년부터 가능해 운영자금 확보와 자회사 지배력 강화 의도로 해석됩니다
  • 과거에도 미국 임상 진행(DD01, 지방간염 치료제) 호재 때마다 외국인·기관 매수세가 유입된 바 있어, 모멘텀 지속 가능성 있어 보입니다

2. 회사 개요

  • 설립: 2014년 11월 28일 / 코스닥 상장: 2024년 5월 2일 .
  • 본사: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직원 약 26–28명 .
  • 사업: 펩타이드 기반 글로벌 임상 신약개발 바이오텍으로, 만성·대사성 질환, 퇴행성 뇌질환, 섬유화 질환, 비만·지방간염 등에 총 22개 파이프라인 보유
    • 대표 파이프라인: DD01(GLP‑1 기반 MASH 치료제), 미국 임상 2상 진행 중
    • 경구용 GLP‑1 계열 치료제 DD02S, DD03 등 6개 물질 MetSera에 기술이전 완료, 최대 마일스톤 규모 1조원 초과 기대 
  • 재무 현황:
    • 2023년 매출 1,867백만 원, 영업손실 지속, 순이익 34백만 원 흑자 전환 .
    • 현금성 자산 약 156억 원, 부채비율 안정적, 배당 없음.
    • 앞으로의 기업가치는 임상 결과 발표와 추가 기술이전 여부에 크게 좌우될 전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