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코인 관련 글을 써보는데요, 차트를 돌려보다가 바닥권에서 모아가보기 좋은 코인이 보여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AUCTION은 때마다 급등을 한 번씩 만들어줬는데요, 지난번 10만원 까지 올랐을 때,
당시 거래소에서 대량의 코인이 외부로 빠져나가며 펌핑을 만들어 냈습니다.
3분기에 신규 IDO가 예정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번에도 유사한 시나리오로 상승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 같아서 GPT와 함께 좀 더 살펴봤습니다.
이젠 정말 GPT 없으면 어떻게 살까 싶을 정도로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AI는 정말 메가 트렌드였는데,
그냥 고급 심심이2 인줄 알고 엔비디아를 안샀던 과거의 저를 다시 반성하며..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Bounce Token(AUCTION)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3분기(Q3) 신규 IDO(Initial DEX Offering) 계획이 공식 로드맵에 포함되면서, 시장에서는 “과거처럼 급등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생기고 있습니다.
🔹 AUCTION, 왜 기대를 모으고 있을까
- 대형 IDO 가능성
- Bounce는 Q3에 새로운 IDO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만약 파트너가 대형 프로젝트라면, IDO 참여를 위해 AUCTION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급증할 수 있습니다.
- 스테이킹 수요 증가 → 유통량 감소
- IDO 참여 조건은 AUCTION 스테이킹입니다.
- 많은 물량이 스테이킹되면 거래소 유통량이 줄어들고, 이는 곧바로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락업 해제 물량에 대한 부담 없음
- AUCTION은 2024년에 이미 모든 락업이 끝났습니다.
이번에는 추가 매도 압력 없이, 수요 요인만 반영될 수 있는 환경입니다.
🔹 과거 사례에서 본 AUCTION의 잠재력
- 2021년 DeFi·NFT 열풍 당시, AUCTION은 한때 10만 원대까지 급등했습니다.
- 당시에도 IDO 참여 수요 + 적은 유통량 + 시장 강세가 맞물리며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했습니다.
- 이번 Q3 이벤트 역시 과거 상황을 어느 정도 재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과거 IDO 운영 방식 근거, 스테이킹 경매 구조
- 2024년, Bounce는 AUCTION 스테이킹을 통한 IDO 참여 방식을 공식 도입했습니다.
- 이 방식은 IDO 참여를 위해 AUCTION을 스테이킹해야 하며, 일정량 초과 시 일부 환불되는 구조입니다.
- 따라서, IDO가 시작되면 유통 물량이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 다만 관건은 프로젝트가 좋아야 한다는 것...?
https://www.binance.com/en/square/post/2024-05-29-bounce-brand-announces-staking-auction-designed-for-ido-on-x-platform-8745530619065?utm_source=chatgpt.com
www.binance.com
🔹 상승 시나리오 vs 리스크
- 상승 시나리오
- 대형 프로젝트 IDO 발표 → 스테이킹 급증 → 가격 단기 급등
- 리스크 요인
- IDO 파트너 규모가 작거나 흥행 실패 → 실망 매도 가능성
-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약세 → 이벤트 효과 제한
- 스테이킹 해제 시점 물량 출회 → 가격 급락 가능성
✅ 결론
Bounce Token(AUCTION)은 이미 한 번 급등 경험이 있고, 이번 Q3 IDO는 가격 재도약의 촉매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무조건 오른다고 보기보다는, IDO 규모와 시장 상황을 확인하면서 매매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연히 본 글은 투자에 참고만 하시고, 최종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모두 성투하세요!